한민족 고유종교 선교

하느님 환인(桓因)을 신앙하며 천부인(天符印)의 진리로 온 인류의 신성회복을 실현합니다.

절기법문 5

[절기법회] 소서, 선교창시자 취정원사님 “신단수 선맥, 한국선도의 기원” 선교강원법문

한민족 고유종교 선교(仙敎) / 창교주 취정원사 / 소서 절기법회 · 법문 선교(仙敎) 절기법회 / 24절기 소서 / 선교 창시자 취정원사님 선도법문​“신단수 선맥(神檀樹仙脈), 한국선도의 기원(韓國仙道起源)” 선교(仙敎) 취정원사, ‘7월, 신단수의 달’ 맞아 ‘신단수 선맥, 한국선도의 기원’ 주제로 절기법회 법문 / “선도(仙道)의 맥(脈)은 하느님 환인(桓因)의 교화 선교(仙敎)에서 비롯되어 환국(桓國)으로 전해졌으니, 한국선도(韓國仙道)는 곧 환국선도(桓國仙道)이다. 한국선도의 선맥(仙脈)은 천지인합일(天地人合一)의 상징인 신단수(神檀樹) 아래로 하강한 환웅(桓雄)에서 단군(檀君)으로 이어져, 하느님 환인(桓因上帝)께 제천(祭天)하며 교화(敎化)를 펼치어 생무생일체를 다스렸으니, 이에 한민족의 고..

선교(仙敎) 2024.07.13

선교(仙敎), 취정원사님 “24절기 하지(夏至)” 선도법문

한민족 고유의 선교문화 / 한국선도 / 24절기 선도수행 한민족 고유종교 선교(仙敎), 창시자 취정원사님 선교문화원 · 仙문화 강좌 “24절기 하지(夏至)” 생활속의 선도수행 법문 ※본 콘텐츠는 선교 창시자 취정원사님의 절기법문으로, 재단법인선교 산하 선교총림선림원 [선교문화원] 저작권과 관련합니다. 무단전재 및 복사편집을 금합니다. [작성 : 선림원절기학교] “ 24절기 하지(夏至)의 신성광명 인류교화선교수행대중이 24절기 하지(夏至)를 맞아 환인하느님(桓因上帝)께서 내리시는 신성광명(神性光明)의 향훈아래, 천지인합일 승선(天地人合一昇仙)의 선도(仙道)를 닦으며, 생무생일체 인류를 교화(敎化)하기를 기원한다. 하지(夏至)의 선도공법 천지율(天地律) 천지간(天地間) 율려(律呂) 조화(調和)로 여름이 시작..

[선(仙)문화원] 절기문화강좌 “환인 하느님의 율려조화 24절기” / 소한 절기법문

한민족 고유종교 선교 / 선(仙)문화원 / 한국의 24절기 문화강좌 선문화원(仙文化院) 절기문화강좌 선교 창교주 취정원사님 “환인 하느님의 율려조화 24절기” / 소한 절기법문 “24절기는 환인(桓因) 하느님의 교화를 가시적으로 느낄 수 있는 자연의 변화이다. 선교(仙敎)는 환인(桓因) 하느님의 하늘교화를 따르기에 천교(天敎)라 한다.” _ 취정원사 24절기 선도법문 中. 한민족 고유종교 재단법인 선교(仙敎)와 선교총림선림원은 仙문화원 문화강좌 “환인하느님의 율려조화 24절기”를 주제로 취정원사님의 소한 절기법문 공개강연을 진행하였습니다. 선교(仙敎)의 선도수행은 취정원사님의 선교창교종리 천지인합일(天地人合一)과 선농무일여사상(禪農武一如思想)을 근간으로 합니다. 선농무(禪農武) 즉 참선(參禪) · 농선(..

[선도법문] 선교 취정원사 “경칩(驚蟄), 천지간 율려 조화로 만물이 모묘(冒茆)하다” _ 경칩 절기법문

경칩(驚蟄) 절기법문 경칩(驚蟄)은 일년 절기력(節氣曆)의 세번째 절기로 봄비가 내리고 그해 첫천둥이 치는 중춘(仲春) 절기(節氣). 우수(雨水)와 춘분(春分) 사이에 들며, 음력 1월 양력으로 3월 5일경, 태양이 황경 345°의 위치에 있을 때 입니다. 경칩(驚蟄)은 놀랄경(驚)에 숨을 칩(蟄)으로, 그해 첫천둥소리에 겨울잠에 들었던 동물이 깨어나고 초목의 싹을 틔운다는 의미입니다. ‘우수 · 경칩에 대동강 물이 풀린다.’ 는 말이 있듯이 봄비가 내리면서 기후가 온화해져 봄빛이 완연해집니다. 한국의 고유종교 선교(仙敎)에서는 창교주 취정원사님의 2022년 임인년 신년교유 "일심정회(一心正回)"를 수행의 벼리로 하여 선도수행에 정진합니다. 선교(仙敎)에서는 24절기 선도수행의 대중 포덕교화를 위해 24..

[선도법문] 선교 취정원사 “입춘(立春), 천지간 율려의 조화로 봄이 시작된다” _ 입춘 절기법문

입춘(立春) · 절기법문 입춘은 일년 절기력(節氣曆)의 첫번째 절기로 봄이 들어서는 절기(節氣)입니다. 입춘(立春)은 설 립(立)에 봄 춘(春)으로, 봄의 기운이 선다 · 봄이 시작된다는 의미입니다. 입춘에 비가 오면 “입춘우(立春雨)”라고 하여 좋은일이 많다고 합니다. 입춘 절기를 앞두고 만물을 퐁요롭게하고 풍년을 기원하는 입춘우(立春雨)가 내리기를 기다려 봅니다. 민족종교 선교(仙敎)에서는 24절기 중 첫번째 절기 입춘(立春) 절기에 “입춘치성”을 하며, 입춘첩과 봄나물을 나누어 포덕교화합니다. 선교 창교주 취정원사님께서 선교수행대중에 내리신 “천지인합일 선농무일여 참선, 농선, 무예선 _ 선교수행”에 근거하여, 선교에서는 입춘일 후 첫 해일(亥日)에 선농제(先農祭)를 지내며 농선(農禪)수행에의 의지..